CVPR과 ICCV

CVPR 2022 페이퍼 번호에 따른 ICCV2021 억셉된 페이퍼 수 페이퍼 번호에 따른 CVPR2021 억셉된 페이퍼 수 페이퍼 번호에 따른 CVPR2020 억셉된 페이퍼 수 ICCV 2019 CVPR2019 CVPR 2018 미신에 따르면 Paper ID가 작아야 CVPR에 억셉되기가 쉽다고 한다. 결과가 나오면 CVPR학회는 붙은 Paper ID를 전부 공개하는 데, 이 때 히스토그램을 그리면 확실히 작은 번호일 수록 붙은 논문의 수가 더 많은 경향성을 띈다. 왜 일까? 아마도 이미 결과가 나온 좋은 질의 논문의 경우 빨리 등록을 해서 이른 번호를 갖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 일 것이다....

July 24, 2021 · j

구글 번역 vs 파파고 번역

예전부터 영한/한영 부분에서는 파파고 번역이 구글 번역보다 훨신 낫다고 들었고, 그렇게 생각해서 혹시 관련된 성능비교가 있나 검색을 하다 이런 글을 발견했다. 글 자체는 내가 찾는게 없어서 그냥 쭉쭉 넘겼는데, 이런 댓글을 발견했다. Meta-분석을 해보자. 메타 분석 결과 파파고 승!

May 19, 2021 · j

로코의 바실리스크

바실리스크는 한 반만 보기만 해도 관찰자가 죽는 유럽 설화 속의 전설의 동물이다. “로코의 바실리스크 (Roko’s Basilisk)”는 존재를 알아치기만 해도 죽는다는 전설속의 동물을 빗대어 이름지어진 사고 실험이다. 2010년 Less Wrong이라는 논리 덕후들의 포럼에 Roko라는 사용자가 처음 올린 글에서 시작됐는 데, 참고로 Less Wrong을 만든 사람은 인공지능 연구자 Eliezer Yudkowsky로 “해리포터와 합리적 사고의 지향성”이라는 호불호가 크게 갈리는 팬픽의 작성자이기도 하다. 로코의 바실리스크를 짧게 설명하면 “미래의 초지능 AI는 자기의 탄생을 돕지 않은 인간에게 영원한 고통을 준다....

April 4, 2021 · j

outline 서버 다시 연결하기

sudo cat /opt/outline/access.txt.bak

December 27, 2020 · j

Attempt to get length of null array, 안드로이드 listfiles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5280176/make-directory-in-android android:requestLegacyExternalStorage=”true” 를 추가해주자

June 6, 2020 · j